클라이언트 서버 공부 중 나온 궁금증이 있어 정리해봅니다.

 

TestRequestDto 소스 (Setter 가 있어야 값 적용이 가능합니다. - lombok 사용)

@Setter
class TestRequestDto
{
    private String a;
    private String b;
    
    //lombok Setter
    //public void setA (String a) { this.a = a; }
    //public void setB (String b) { this.b = b; }

    public void Show () {
        System.out.println(String.format("a: %s\nb: %s", a, b));
    }
}

 

1. json 으로 통신

클라이언트)

  ContentType = application/json

  data = {

       a : "123",

       b : "456",

    }

 

서버) @RequestBody 가 사용되면 json 통신

@PostMapping("/test")
public Long TestRequest (@RequestBody TestRequestDto requestDto) {
  requestDto.Show(); //결과 값 보려고 만든 함수
  System.out.println("요청 들어왔습니다~~");
  return 1L;
}

 

2. x-www-form-urlencoded 으로 통신

클라이언트)

  ContentType = application/x-www-form-urlencoded

  data = "a=123&b=456"

 

서버) @RequestBody 를 지워줍니다.

@PostMapping("/test")
public Long TestRequest (TestRequestDto requestDto) {
  requestDto.Show(); //결과 값 보려고 만든 함수
  System.out.println("요청 들어왔습니다~~");
  return 1L;
}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