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일 등을 드래그 & 드롭으로 가져올 수 있는 코드입니다.

dropFiles 는 해당 파일의 경로를 불러오게 됩니다.

 

파일/폴더를 마우스 드래그로 가져올 수 있습니다.

 

using System.Windows.Forms;

namespace WindowsFormsApp1
{
    public partial class Form1 : Form
    {
        public Form1()
        {
            InitializeComponent();

            listBox1.AllowDrop = true; //drag & drop 허용
        }

        private void listBox1_DragDrop(object sender, DragEventArgs e)
        {
            //드래그 드롭 파일 (여러 개 가능)
            string[] dropFiles = (string[])e.Data.GetData(DataFormats.FileDrop);
            
            foreach (string file in dropFiles)
            {
                listBox1.Items.Add(file);
            }
        }

        private void listBox1_DragEnter(object sender, DragEventArgs e)
        {
            //마우스 커서 표현
            if (e.Data.GetDataPresent(DataFormats.FileDrop))
            {
                e.Effect = DragDropEffects.Copy;
            }
        }
    }
}

종료 되었지만 남아있는 tray 아이콘

 

C# 에서 정상적으로 프로그램이 종료되면 Tray 아이콘이 제거 되긴 합니다만,

프로세스 킬, 비정상적인 종료 방법이라면 위와 같이 트레이 아이콘이 남는 경우가 있습니다.

 

해당 아이콘은 mouse hover 이벤트 시 윈도우 내부적으로 해당 프로그램이 동작하고 있는지 판별하기에

mouse move 이벤트를 통해 해당 tray들을 정리할 수 있습니다. 아래는 코드!

 

[생성, 정리 후]

생성 버튼 클릭 (8번)
정리 버튼 클릭

 

 

using System;
using System.Diagnostics;
using System.Runtime.InteropServices;
using System.Threading.Tasks;
using System.Windows.Forms;

namespace WindowsFormsApp1
{
    public partial class Form1 : Form
    {
        class TrayRefresher
        {
            [StructLayout(LayoutKind.Sequential)]
            struct RECT
            {
                public int Left;
                public int Top;
                public int Right;
                public int Bottom;
            }

            [DllImport("user32.dll")]
            static extern IntPtr FindWindowEx(IntPtr parentHandle, IntPtr childAfter, string className, string windowName);

            [DllImport("user32.dll")]
            static extern bool GetWindowRect(IntPtr hWnd, out RECT rect);

            [DllImport("user32.dll")]
            static extern IntPtr SendMessage(IntPtr hWnd, int msg, IntPtr wParam, IntPtr lParam);

            const int WM_MOUSEMOVE = 0x0200;
            
            public void RefreshTray()
            {
                /*
                Shell_TrayWnd (하단의 작업 표시줄)
                 ├─ TrayNotifyWnd (시스템 트레이 영역 - 시계, 네트워크 아이콘, 볼륨 조절 등)
                 │    └─ SysPager (아이콘을 스크롤하거나 관리)
                 │         └─ ToolbarWindow32 (보이는 트레이 아이콘들)
                 │
                 └─ NotifyIconOverflowWindow (숨겨진 아이콘 영역) - 숨기기/펼치기 영역
                      └─ ToolbarWindow32 (숨겨진 아이콘들)
                */

                //보여지는 영역
                IntPtr toolbar = FindToolbar("Shell_TrayWnd", "TrayNotifyWnd", "SysPager", "ToolbarWindow32");
                SendMouseMove(toolbar);

                //감춰진 영역도 추가
                toolbar = FindToolbar("NotifyIconOverflowWindow", "ToolbarWindow32");
                SendMouseMove(toolbar);
            }

            private IntPtr FindToolbar(params string[] targets)
            {
                IntPtr hWnd = IntPtr.Zero;

                foreach (string target in targets)
                {
                    hWnd = FindWindowEx(hWnd, IntPtr.Zero, target, null);

                    if (hWnd == null)
                    {
                        break;
                    }
                }

                return hWnd;
            }

            private void SendMouseMove(IntPtr hWnd)
            {
                if (hWnd == null)
                {
                    return;
                }

                if (GetWindowRect(hWnd, out RECT rect))
                {
                    int width = rect.Right - rect.Left;
                    int height = rect.Bottom - rect.Top;
                    int offset = 5; //아이콘 간격

                    for (int x = 0; x < width; x += offset)
                    {
                        for (int y = 0; y < height; y += offset)
                        {
                            //4byte lParam에 2byte씩 마우스 위치를 넣어줍니다.
                            //mouse y 2byte, mouse x 2byte
                            IntPtr lParam = (IntPtr)((y << 16) | (x & 0xFFFF));
                            SendMessage(hWnd, WM_MOUSEMOVE, IntPtr.Zero, lParam);
                        }
                    }
                }
            }
        }

        public Form1()
        {
            InitializeComponent();
        }

        private void button1_Click(object sender, EventArgs e)
        {
            Task.Run(async () => //테스트용 트레이 아이콘 생성!
            {
                //테스트용 프로그램            
                Process process = Process.Start(@"...\trayTest.exe");
                await Task.Delay(1000);
                process.Kill(); //강제 종료 시 트레이 아이콘이 남습니다.
            });
        }

        private void button2_Click(object sender, EventArgs e)
        {
            new TrayRefresher().RefreshTray(); //트레이 아이콘 정리!
        }
    }
}

크롬이나 엣지를 감지하여 따라다니는 프로그램 샘플입니다.

여러 개인 경우는 다르게 처리가 필요합니다 기능이 재미있어서 게시 해둬봅니다!

using System;
using System.Drawing;
using System.Runtime.InteropServices;
using System.Text;
using System.Threading.Tasks;
using System.Windows.Forms;

namespace WindowsFormsApp1
{
    public partial class FollowForm : Form
    {
        // EnumWindows 콜백 델리게이트
        private delegate bool EnumWindowsProc(IntPtr hWnd, IntPtr lParam);

        [DllImport("user32.dll")]
        private static extern bool EnumWindows(EnumWindowsProc lpEnumFunc, IntPtr lParam);

        //SetLastError 설정하면 아래와 같이 에러 타입 가져올 수 있습니다.
        //int errorCode = Marshal.GetLastWin32Error();
        [DllImport("user32.dll", SetLastError = true)]
        private static extern int GetWindowText(IntPtr hWnd, StringBuilder lpString, int nMaxCount);

        [DllImport("user32.dll", SetLastError = true)]
        private static extern bool SetWindowPos(IntPtr hWnd, 
                                                IntPtr hWndInsertAfter,
                                                int X, 
                                                int Y, 
                                                int cx, 
                                                int cy, 
                                                uint uFlags);

        [DllImport("user32.dll")]
        private static extern bool IsWindowVisible(IntPtr hWnd);

        const uint SWP_NOMOVE = 0x0002;
        const uint SWP_NOSIZE = 0x0001;

        [StructLayout(LayoutKind.Sequential)]
        private struct RECT
        {
            public int Left;
            public int Top;
            public int Right;
            public int Bottom;
        }

        //EntryPoint를 통해 C#에서 사용할 이름을 커스텀 할 수 있습니다.
        [DllImport("user32.dll", EntryPoint = "GetWindowRect")]
        private static extern bool GetWindowRect22(IntPtr hWnd, out RECT lpRect);

        private bool isRunning = true;

        public FollowForm()
        {
            InitializeComponent();
        }

        private void FollowForm_Load(object sender, EventArgs e)
        {
            IntPtr myHwnd = this.Handle;

            Task.Run(async () =>
            {
                while (isRunning)
                {
                    await Task.Delay(10);

                    EnumWindows((hWnd, lParam) => //최상위 윈도우 값들을 가져옵니다.
                    {
                        if (IsWindowVisible(hWnd)) //윈도우 보여지는지 여부
                        {
                            StringBuilder title = new StringBuilder(256);
                            GetWindowText(hWnd, title, title.Capacity); //윈도우 텍스트를 가져옵니다.
                            string windowTitle = title.ToString();

                            //크롬이나 엣지를 감지합니다.
                            if (windowTitle.Contains("Chrome") || windowTitle.Contains("Edge"))
                            {
                                Console.WriteLine(windowTitle);

                                SetWindowPos(hWnd, myHwnd, 0, 0, 0, 0, SWP_NOMOVE | SWP_NOSIZE); //해당 위치를 조정해줍니다.

                                RECT rect;
                                GetWindowRect22(hWnd, out rect); //위치를 가져옵니다. GetWindowRect

                                Invoke((MethodInvoker)delegate
                                {
                                    this.Location = new Point(rect.Left, rect.Top);
                                });
                            }
                        }
                        return true;
                    }, IntPtr.Zero);
                }
            });
        }
        
        private void FollowForm_FormClosing(object sender, FormClosingEventArgs e)
        {
            isRunning = false;
        }
    }
}

코드 및 디자이너는 아래와 같습니다.. 디자이너에서 트레이 아이콘 설정을 해주면 완료!

 

+) 추가적으로 보이지 않지만 특정 위치에 파일 다이얼로그, 프린트 등 기능을 보여주기 위해서

위치 값을 조정할 때가 있습니다. WindowState 와 Visible 처리를 통해 해당 위치 제어가 가능!

using System.Windows.Forms;

namespace WindowsFormsApp1
{
    public partial class Tray : Form
    {
        public Tray()
        {
            InitializeComponent();

            this.ShowInTaskbar = false; //하단 테스트바에서 보이지 않도록 설정
            this.Visible = false; //화면에 보이지 않도록 설정
            this.WindowState = FormWindowState.Minimized; //최소화
            this.Opacity = 0; //투명하게 하여 타이틀도 안보이게 설정
            this.FormBorderStyle = FormBorderStyle.FixedToolWindow; //Alt + Tab 에서도 보이지 않도록

            //this.종료ToolStripMenuItem.Click += new System.EventHandler(this.종료ToolStripMenuItem_Click);

            //잠시 특정 위치 활성화
            this.WindowState = FormWindowState.Normal;
            this.Visible = true;
            //new OpenFileDialog().ShowDialog();

            //다시 특정 위치 해제
            this.WindowState = FormWindowState.Minimized;
            this.Visible = false;
        }

        private void 종료ToolStripMenuItem_Click(object sender, System.EventArgs e)
        {
            Close();
        }
    }
}

 

notifyIcon 및 contextMenuStrip 을 설정해줍니다.

notifyIcon 설정

 

ContextMenuStrip 설정 (이벤트도 추가 해주기)

 

결과 Tray Icon

 

.NET Framework / .NET 6 이상
[App.config] 파일

<?xml version="1.0" encoding="utf-8" ?>
<configuration>
  <startup>
    <supportedRuntime version="v4.0" sku=".NETFramework,Version=v4.5" />
  </startup>
  <appSettings>
    <add key="ServerUrl" value="127.0.0.1"/>
    <add key="ServerPort" value="5000"/>
  </appSettings>
</configuration>

//코드에서 호출방법
System.Configuration.ConfigurationManager.AppSettings["ServerUrl"]
System.Configuration.ConfigurationManager.AppSettings["ServerPort"]

==============================================

.NET Core / .NET 5
[appsettings.json] 파일

{
  "ServerUrl": "https://example.com/api",
  "ServerPort": "5"
}

//코드에서 호출
var config = new ConfigurationBuilder()
    .AddJsonFile("appsettings.json")
    .Build();

string apiUrl = config["ServerUrl"];
string apiPort = config["ServerPort"];

프로세스 내부에서의 임계영역 설정 (운영체제에서 관리 x - 빠른 속도) - Monitor, lock

object obj = new object(); //타겟 오브젝트

// 1) Monitor와 같은 역할
lock (obj)
{
  //do something
}

// 2) lock과 같은 역할
Monitor.Enter(obj)
//do something
Monitor.Exit(obj)

 

 

다른 프로세스 간 임계영역 설정 (운영체제에서 관리) - Mutex, Semaphore, EventWaitHendle

1) Mutex, Semaphore (1개면 Mutex와 동일)

using System;
using System.Threading;

namespace ConsoleApp2
{
    class Program
    {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1) 뮤텍스가 이미 있는지 확인
            bool isExist;
            Mutex mutex2 = new Mutex(true, "Test2", out isExist); //시작이 true면 바로 락 (WaitOne 효과)

            if (isExist)
            {
                //이미 존재하는 뮤텍스...
            }
            else
            {
                //존재하지 않는 뮤텍스..
            }
            mutex2.ReleaseMutex();
            mutex2.Dispose();
            //*******************************************

            //2) 
            Mutex mutex = new Mutex(false, "Test"); //시작이 false면 최초 락 걸지 않음 (WaitOne 필요)

            //************************************
            //(WaitOne 성공 시 true, 다른 곳에서 사용 중이면 false)
            //bool canUse = mutex.WaitOne(5000); //5초 기다리고 바로 실행
            //bool canUse = mutex.WaitOne(0);    //바로 사용 가능한지 확인
            //************************************

            mutex.WaitOne(); //사용 가능할 때까지 대기

            Console.WriteLine("{0} : 임계영역 설정", DateTime.Now);
            Console.ReadLine();

            mutex.ReleaseMutex(); //임계영역 해제
            mutex.Dispose(); //메모리 누수 방지를 위해 Dispose 혹은 using 필요!

            Console.WriteLine("{0} : 임계영역 해제", DateTime.Now);
            Console.ReadLine();
        }
    }
}

 

(GPT 대답)

  • createdNew는 뮤텍스가 "생성됐는지" 여부
  • WaitOne(0)는 뮤텍스 "소유권을 즉시 획득할 수 있는지" 여부

 

EventWaitHendle 도 있는데 나중에 정리..

32bit 환경에서 2GB 이상 사용하게 되면 out of memory 가 발생되게 됩니다.

기본 플랫폼 대상이 x86 (32bit)

 

c++ 도구 중 editbin.exe 라는 프로그램이 있는데 64bit 환경에서 32bit 프로그램의 메모리 사용량을 4GB 가량으로 늘려주는 기능이 있습니다.

Visual Studio Installer 에서 C++ MSVC를 설치하면..!

 

아래 경로에 editbin.exe 파일이 설치됩니다. (각 버전에 따라 위치가 변경 될 수 있습니다.)
C:\Program Files (x86)\Microsoft Visual Studio\2019\Professional\VC\Tools\MSVC\14.29.30133\bin\Hostx86\x86\

                                                                           (버전) (타입)                                        (버전)

editbin.exe

 

빌드 후 이벤트에 해당 프로그램을 넣어주어 exe 메모리 사용량 변경이 가능합니다.

프로젝트 빌드 후 이벤트에 추가

 

"C:\Program Files (x86)\Microsoft Visual Studio\2019\Professional\VC\Tools\MSVC\14.29.30133\bin\Hostx86\x86\editbin.exe" /LARGEADDRESSAWARE "$(TargetPath)"

 

※ $(TargetPath) 는 프로그램 exe 경로입니다.

 

===========================

 

메모리 사용량 확인

디버그 -> 성능 프로파일러 -> 메모리 사용량 -> 시작

비주얼 스튜디오 툴바

 

 

메모리 사용량 체크

 

editbin 메모리 증가

적용 전 (1.2GB 정도 사용 후 다운) 적용 후 (3.0GB 정도 사용 후 다운)

 

Xml 구조 읽는 방법 예제

 

결과

 

using System;
using System.Xml;

class Test
{
    static void Main()
    {
        string testData =
                "<main>" +
                " <sub attribute1=\"SubAttribute\">" +
                "  <field name=\"first\">1</field>" +
                "  <field name=\"second\">" +
                "   <test>" +
                "    2" +
                "   </test>" +
                "  </field>" +
                " </sub>" +
                "</main>";

        XmlDocument xml = new XmlDocument();

        //파일 경로로 읽는 방식
        //xml.Load("파일 경로");

        //string 읽는 방식
        xml.LoadXml(testData);

        //<sub> 가져오기
        XmlNode subNode = xml.SelectSingleNode("main/sub"); //첫 번째 노드 가져옴

        //<sub> attribute1 가져오기
        string attribute1 = subNode.Attributes["attribute1"]?.Value;
        Console.WriteLine($"attribute1 : {attribute1}");

        //<sub><field> 가져오기
        XmlNodeList fieldList = subNode.SelectNodes("field"); //Node의 Node 방식

        //<field> 값들 순회
        foreach (XmlNode node in fieldList)
        {
            string innterText = node.InnerText; //순수 값.
            string innerXml = node.InnerXml; //xml 값 전체

            Console.WriteLine($"innerText: {innterText}, innerXml: {innerXml}");
        }

        //번외) 항상 첫 번째 값을 가져옴 (field가 여러개)
        string x = subNode["field"].Attributes["name"]?.Value; //"first"
        Console.WriteLine($"first node : {x}");
    }
}

Base64는 byte 배열을 읽는 방식을 의미합니다. (보통 우리가 사용하는 UTF8, ASCII 등이 있지요)

Base64는 3byte (24bit) 단위로 자르고, 6bit씩을 취해 해당 값에 매칭되는 base64테이블로 매핑해줍니다.

이 때, 원문이 없는 경우는 "=" 문자열을 넣어 길이를 채워줍니다.

아래는 aB1@ 를 base64로 변환 한 결과입니다.

 

Base64 Table : ABCDEFGHIJKLMNOPQRSTUVWXYZabcdefghijklmnopqrstuvwxyz0123456789+/

 

base64 나눠지는 형식

 

 

일단 C# 에서 제공되는 코드가 있는데 내부 구현이 궁금하여 테스트 해보게 되었습니다.

 

[C# base64 기존 제공]

string text = "aB1@"; //원본
byte[] bytes = Encoding.UTF8.GetBytes(plainText); //원하는 인코딩으로 byte 만들기
string base64String = Convert.ToBase64String(bytes); //byte배열 -> base64 텍스트 변환
byte[] base64bytes = Convert.FromBase64String(base64String); //base64 텍스트 -> byte배열 변환
string originText = Encoding.UTF8.GetString(base64bytes); //원본과 일치

 

 

[C# 직접 구현 - 4Byte int 형으로 비트 값 연산에 사용 (GPT 도움..!)]

using System;
using System.Collections.Generic;
using System.Text;

class Test
{
    private const string table = "ABCDEFGHIJKLMNOPQRSTUVWXYZabcdefghijklmnopqrstuvwxyz0123456789+/";
    private const string plainText = "aB1@";

    static void Main()
    {
        byte[] bytes = Encoding.UTF8.GetBytes(plainText);

        string base64Text = Base64Encoding(bytes); //직접 구현
        string base64Text2 = Convert.ToBase64String(bytes); //기존 제공

        Console.WriteLine("base64 텍스트 : " + base64Text);
        Console.WriteLine("base64 텍스트2 : " + base64Text2);

        byte[] base64bytes = Base64Decoding(base64Text); //직접 구현
        byte[] base64bytes2 = Convert.FromBase64String(base64Text2); //기존 제공

        Console.WriteLine("원본 복원 : " + Encoding.UTF8.GetString(base64bytes));
        Console.WriteLine("원본 복원2 : " + Encoding.UTF8.GetString(base64bytes2));
    }

    private static string Base64Encoding(byte[] bytes)
    {
        StringBuilder sb = new StringBuilder();

        for (int i = 0; i < bytes.Length; i += 3)
        {
            int value = 0;
            int paddingCount = 0;

            //3byte씩 합쳐주기
            for (int j = i; j < i + 3; ++j)
            {
                value = value << 8;

                if (j < bytes.Length)
                {
                    value |= bytes[j];
                }
                else
                {
                    paddingCount++;
                }
            }

            //Masking
            //1111 1100 0000 0000 0000 0000 (0x3F << 6 << 6 << 6)
            //0000 0011 1111 0000 0000 0000 (0x3F << 6 << 6)
            //0000 0000 0000 1111 1100 0000 (0x3F << 6)
            //0000 0000 0000 0000 0011 1111 (0x3F)
            int masking = 0x3F << 6 << 6 << 6;

            //3byte를 6bit로 쪼개기 (없다면 패딩처리 '=')
            for (int j = 0; j < 4; ++j)
            {
                if (paddingCount > 3 - j)
                {
                    sb.Append("=");
                }
                else
                {
                    int v = (value & masking) >> 6 * (3 - j);
                    sb.Append(table[v]);
                }

                masking = masking >> 6;
            }
        }

        return sb.ToString();
    }

    private static byte[] Base64Decoding(string text)
    {
        List<byte> byteList = new List<byte>();

        for (int i = 0; i < text.Length; i += 4)
        {
            int value = 0;
            int paddingCount = 0;

            for (int j = i; j < i + 4; ++j)
            {
                value = value << 6;

                if (text[j] != '=')
                {
                    value |= table.IndexOf(text[j]);
                }
                else
                {
                    paddingCount++;
                }
            }

            int masking = 0xFF << 8 << 8;

            for (int j = 0; j < 3; ++j)
            {
                if (paddingCount > (2 - j))
                {
                    break;
                }
                else
                {
                    int v = (value & masking) >> 8 * (2 - j);
                    byteList.Add((byte)v);
                }

                masking = masking >> 8;
            }

            //Console.WriteLine("Processing... " + Encoding.UTF8.GetString(byteList.ToArray()));
        }

        return byteList.ToArray();
    }
}

 

 

하위 form2, form3 은 항상 form1보다 앞에 위치!

(Winform) 하위 form2, form3이 form1 앞에 위치


(WPF에 Winform 삽입) form1이 MainWindow 앞에 위치

 

Form 앞쪽에 고정 시키고 싶은 Form이 있는 경우입니다.

Winform에서는 Owner 속성을 지정해주면 해당 Form보다 항상 앞에 위치하게 됩니다.

WPF에서는 창의 Handle 값을 가져와서 Winform에서 Show 할 때 지정해줄 수 있습니다.

 

[Winform]

using System;
using System.Drawing;
using System.Windows.Forms;

namespace WindowsFormsApp1
{
    public partial class Form1 : Form
    {
        private Form2 form2 = new Form2();
        private Form3 form3 = new Form3();
        private int titleSize = 30;

        public Form1()
        {
            InitializeComponent();
        }

        private void Form1_Load(object sender, EventArgs e)
        {
            form2.Owner = this; //Form3은 Form1 앞에 위치
            form3.Owner = this; //Form3은 Form1 앞에 위치

            form2.Size = new Size(this.Width / 2, this.Height - titleSize);
            form3.Size = new Size(this.Width / 2, this.Height - titleSize);

            form2.Show();
            form3.Show();

            form2.Location = new Point(this.Location.X, this.Location.Y + titleSize);
            form3.Location = new Point(this.Location.X + form2.Size.Width, this.Location.Y + titleSize);
        }

        private void Form1_Move(object sender, EventArgs e)
        {
            form2.Location = new Point(this.Location.X, this.Location.Y + titleSize);
            form3.Location = new Point(this.Location.X + form2.Size.Width, this.Location.Y + titleSize);
        }
    }
}

 

[WPF 에서 Winform]

using System;
using System.Windows;
using System.Windows.Interop;

namespace WpfApp1
{
    /// <summary>
    /// MainWindow.xaml에 대한 상호 작용 논리
    /// </summary>
    public partial class MainWindow : Window
    {
        public MainWindow()
        {
            InitializeComponent();
        }

        private void Window_Loaded(object sender, RoutedEventArgs e)
        {
            Form1 form1 = new Form1();

            WindowInteropHelper helper = new WindowInteropHelper(this);
            IntPtr handle = helper.Handle; //WPF 핸들값 가져오기

            form1.Show(new Win32Window(handle)); //form1이 항상 윗쪽에!
        }
    }

    class Win32Window : System.Windows.Forms.IWin32Window
    {
        private IntPtr handle;
        public IntPtr Handle
        {
            get
            {
                return handle;
            }
        }

        public Win32Window(IntPtr handle)
        {
            this.handle = handle;
        }
    }
}

+ Recent posts